HTTP 클라이언트가 서버(M2)에 접속하면 HTTP 세션이 생성된다.
클라이언트는 HTTP 세션을 통해 서버에 저장된 여러 콘텐츠를 서비스 받는다.
요청부터 응답까지를 하나의 HTTP 트랜잭션 이라고 부른다.
HTTP 세션은 여러 HTTP 트랜잭션을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keepAlive 설정시 session.keepAliveSec 를 참고하지만 session.keepAliveSec 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다.
성능이나 자원적으로 가장 중요한 이슈는 Idle세션(=HTTP 트랜잭션이 발생되지 않는 세션)의 정리시점을 잡는 것이다.
HTTP 헤더 설정은 동적으로 변경되거나 때로 생략될 수 있지만 Idle세션 정리는 훨씬 민감한 문제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session.keepAliveSec 는 keepAlive 에 통합되지 않고 별도로 존재한다.
OS CentOS 6.3 (Linux version 2.6.32-279.el6.x86_64 (mockbuild@c6b9.bsys.dev.centos.org) (gcc version 4.4.6 20120305(Red Hat 4.4.6-4) (GCC) ) #1 SMP Fri Jun 22 12:19:21 UTC 2012)
compression 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원본 서버로 비압축 콘텐츠만을 요청한다.
비압축 콘텐츠란 원본 서버에 Accept-Encoding 헤더를 명시하지 않고 보냈을 때의 응답을 의미한다.
만약 원본 서버가 비압축 콘텐츠 요청에 대해 Content-Encoding 헤더를 명시했다면 이미 압축된 것으로 간주하여 다시 압축하지 않는다.
가상호스트는 보통 원본(Domain 또는 IP목록)과 1:1로 구성되는 것이 기본이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대표 가상호스트를 여러 하위 가상호스트로 분기하거나,
반대로 독립적인 여러 가상호스트를 하나의 서비스로 포장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각 기능에 따라 클라이언트 통계 / access.log 의 정책이 다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실서비스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HTTP 요청을 라우팅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각 모듈이 동작하는 시점을 명확히 이해해야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먼저 간단한 HTTP 요청부터 시작하자.
http://foo.com/
이 요청은 아래 그림과 같은 흐름으로 처리된다.
HTTP트랜잭션 은 HTTP 요청을 어플리케이션이 처리하는 단위이다.
따라서 가상호스트에 진입하면서 시작되고, 떠나면서 종료된다.
Note
흔히 HTTP 트랜잭션의 시작을 HTTP Layer로 생각하는데 이는 잘못된 이해이다.
HTTP Layer의 책임은 HTTP 프로토콜 구현(Parsing & Reponse)에 한정된다.
파싱된 HTTP 요청이 가상호스트 [foo.com] 로 분기되어야 비로소 HTTP트랜잭션 이 시작되는 것이다.
URL 전처리 는 HTTPLayer 와 가상호스트 [foo.com] 사이에 위치한다.
URL 전처리 를 이용하면 [foo.com] 의 요청을 [bar.com] 으로 분기시킬 수 있다.
URL 전처리 는 HTTP트랜잭션 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bar.com] 으로 요청이 진입할 때 HTTP트랜잭션 이 시작된다.
[foo.com] 에는 아무런 액션도 발생하지 않는다.
facade 가상호스트 는 통계와 로그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foo.com] 이 [bar.com] 의 facade라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HTTP트랜잭션 이 2개의 가상호스트에서 발생한다.
이렇게 중첩된 경우 상위 HTTP트랜잭션 이 모든 책임을 위임받는다.
따라서 손쉽게 통계와 로그의 분리가 가능하다.
클라이언트 요청이 다른 가상호스트로 위임되더라도 클라이언트 통계 와 access.log 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가상호스트에 기록된다.
Note
fallback 관계에 있는 가상호스트 설정이 다를 경우 의도치 않게 동작할 수 있음을 주의한다.
가상호스트 링크가 A(단순 캐싱) -> B(이미지 압축)로 맺어져 있다면, A에서 처리된 이미지는 압축되지 않지만 B에서 처리된 이미지는 압축된다.
예를 들어 nas.com의 콘텐츠를 cloud.com으로 이전 중일 경우, cloud.com에 없는(= 404NotFound ) 콘텐츠에 대해서만 nas.com으로 요청을 보낼 수 있다.
아래의 경우 요청이 nas.com에 의해 처리되더라도 클라이언트 통계 와 access.log 는 cloud.com에 기록된다.
access.log 의 x-fallback 필드를 통해 클라이언트 요청이 어느 가상호스트에서 처리되었는지 알 수 있다.
“-” 는 요청이 링크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nas.com” 은 해당 요청이 링크되어 nas.com에서 처리되었음을 의미한다.
#Fields: date time s-ip cs-method cs-uri-stem ...(중략)... x-fallback2016.11.2416:52:24220.134.10.5GET/web/h.gif...(중략)...-2016.11.2416:52:26220.134.10.5GET/favicon.ico...(중략)...nas.com
링크가 여러 번 발생했다면 “+”를 구분자로 링크된 모든 가상호스트가 명시된다.
이 경우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가상호스트가 최종 요청을 처리한 가상호스트이다.